[뉴스프라임] 문대통령 "국민 공감대 살피겠다"…사면 고심<br /><br />■ 방송 : 2022년 4월 29일 (금) <br />■ 진행 : 성승환 앵커<br />■ 출연 : 노동일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, 김두수 시대정신연구소 대표<br /><br /> 사면부터 살펴보죠.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반대 청원에는 찬성 의견도 많다며 "사법 정의와 국민 공감대를 잘 살펴서 판단하겠다"고 말했습니다. 원론적 입장이다, 사실상 사면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, 어떻게 해석하세요?<br /><br /> 문 대통령이 집무실 이전에 대해서도 부정적 입장을 냈는데, 인수위는 "국민께 예의를 지켜라" 이렇게 바로 비판했어요. 또다시 신구권력이 충돌한 모습이에요? 문 대통령이 국민청원 답변자로 나서는 일이 드물었는데요. 임기가 10여일 남은 상황에서 민감한 사안에 분명한 목소리를 내고 있어요. 어떤 이유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신구 권력은 '실외 마스크 해제'를 두고도 충돌했습니다. 정권 이양 불과 10여일 남았는데 신구 권력의 대치 전선은 더 넓어지고 있는 모습이거든요?<br /><br /> 임기가 끝나가는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여전히 높습니다. 문 대통령의 공세적인 메시지와 신구 권력의 거듭된 충돌이 6월 지방선거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?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한 방송에서 "퇴임 후 문재인 대통령을 걸고넘어지면 물어버리겠다"고 말한 것을 두고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. 신구 권력이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발언, 불필요한 논란을 자처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?<br /><br /> 검수완박 얘기해보죠. 민주당이 중대범죄수사청 설치를 논의할 사법개혁특위 구성안을 단독 처리했어요. 국민의힘은 이미 여야 합의가 깨졌기 때문에 중수청 논의에 참여하지 않고, 동의한 적 없는 운영위 개최는 국회법 위반이라고 반발하고 있는데요. '입법 독재'라며 반발하고 있어요. 이건 어떻게 읽어야겠습니까?<br /><br /> 국회는 내일 본회의를 열어 검찰청법 먼저 표결에 들어갑니다. 국민의힘은 가처분신청, 권한쟁의심판청구서 제출, 필리버스터 등 쓸 수 있는 모든 수단은 총망라해 저지 시도에 나섰습니다만 마땅치가 않거든요. 향후 정국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